반응형
매년 12월 31일 자정이면 서울 종로 보신각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입니다. ‘제야의 종’ 타종과 함께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서인데요.
이 제야의 종 행사는 불교에서 음력 12월 마지막 날에 중생들의 백팔번뇌가 사라지기를 기원하면서 108번 종을 치던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하지만 보신각 타종은 108번이 아닌 33번을 칩니다. 왜 33번일까요?
타종의 33회는 조선시대부터
과거 조선시대에는 통행금지해제와 도성의 4대문과 4소문이 열리는 시간을 알리기 위해 매일 새벽 4시에 33번 타종하였습니다.
여기서 33번을 친 이유는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구하고자 33천(天)으로 분신(分身)했다는 신화때문인데요. 나라와 백성의 평안을 위해 종을 울린다는 상징적인 뜻이 있습니다.
이렇게 탄생된 33번의 보신각 타종은 다른 행사에도 사용됩니다.
12월 31일 새해맞이 행사가 가장 유명하지만, 3월 1일 삼일절과 8월 15일 광복절 등 국경일 낮 12시에도 33회 타종 행사가 열립니다. 대통령 취임식때도 타종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취임식이 간소화되면서 타종행사가 생략되었습니다.
반응형
'알아두면 써먹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아시안컵 AFC 대한민국 일정 (0) | 2019.01.06 |
---|---|
제야의 종 타종행사와 버스 지하철 막차시간 (0) | 2018.12.31 |
2019년 새해인사말 (0) | 2018.12.28 |
IC, JC, 나들목, 분기점? 고속도로 용어 의미 (1) | 2018.12.24 |
싱어롱? 아이맥스? 스크린X? 영화 상영관별 뜻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