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각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종로 보신각 타종 33번 치는 이유 매년 12월 31일 자정이면 서울 종로 보신각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입니다. ‘제야의 종’ 타종과 함께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서인데요.이 제야의 종 행사는 불교에서 음력 12월 마지막 날에 중생들의 백팔번뇌가 사라지기를 기원하면서 108번 종을 치던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하지만 보신각 타종은 108번이 아닌 33번을 칩니다. 왜 33번일까요? 타종의 33회는 조선시대부터 과거 조선시대에는 통행금지해제와 도성의 4대문과 4소문이 열리는 시간을 알리기 위해 매일 새벽 4시에 33번 타종하였습니다. 여기서 33번을 친 이유는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구하고자 33천(天)으로 분신(分身)했다는 신화때문인데요. 나라와 백성의 평안을 위해 종을 울린다는 상징적인 뜻이 있습니다. 이렇게 탄생된 33번의 보신각 타종은 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