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써먹는 정보

할로윈데이에 왜 호박을 사용할까?

반응형

할로윈데이는 왜 호박을 사용할까?

 

10 31일은 유럽과 북미에서는 유명한 축제인 할로윈데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할로윈데이가 다가오면 많은 축제가 열리고 관련된 용품들도 많이 팔리는데요. 할로윈데이는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사진출처. Freepik.com>


할로윈데이는 기원전 500년경 아일랜드의 켈트 족의 축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켈트 족은 매 해 마지막날에 유령, 마귀, 마녀, 요정들이 다음 한 해동안 머물러 있을 집을 찾아 다닌다고 믿었는데, 이들을 막기 위해 집을 더 음침하고 춥게 만들고, 귀신복장을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켈트 족 기준으로 새해는 11 1일이었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 해 마지막날인 10 31일에 이 축제를 하는거죠.

이 후 켈트 족에도 기독교가 퍼지면서 당시 교황이 켈트 족 기준 새해 첫날인 11 1일은 모든 성인의 날(All Hallow Day)로 지정했는데 그 전날인 10 31일이 All Hallows Eve가 되어 줄임말인 할로윈(Halloween)이 되었다고 합니다. 마치 크리스마스도 즐기지만 크리스마스 이브에도 의미를 부여하는 것 처럼 말입니다.

 



 

호박등(Jack o lantern)의 유래


<사진출처. Freepik.com>


할로윈을 상징하는 것은 대표적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호박등입니다. 이 호박등의 유래 역시 켈트족으로부터 시작되었는데요. 간단하게 요약하면 잭이라는 사람이 악마들을 골탕먹이면서 살다가 결국 죽고 천국과 지옥을 못가고 떠돌았는데 너무 추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악마에게 간곡히 요청을 한 결과 숯을 받았고, 순무를 파서 안에다 숯을 넣어 불을 지폈다고 합니다. 이것이 미국에 들어오면서 호박으로 바뀌었습니다. 왜 호박으로 바뀌었냐고요? 미국에서는 순무보다 호박이 훨씬 구하기 쉬웠으니까요.

 



<사진출처. Freepik.com>


할로윈데이에 어린이들이 하는 놀이가 있죠. 바로 ‘Trick or Treat?’ 입니다.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맛있는걸 안주면 장난칠거예요! 라고 하는 거죠. 이렇게 어른들에게 초콜릿이나 사탕을 얻어간다고 합니다.

 

 

할로윈데이 관련된 축제/행사 정리해보았는데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롯데월드 호러 할로윈2 : He's BACK 2017

기간: 2017.09.01 ~ 2017.11.05

장소: 롯데월드

http://www.lotteworld.com/webzine/2017horror/intro2.html

 


에버랜드 블러드시티 2017

기간: 2017.09.07 ~ 2017.11.05

장소: 에버랜드

http://www.everland.com/web/webzine/blood_city/web/blood_city.html#blood

 

 

서울랜드 할로윈 페스티발 2017

기간: 2017.09.13~2017.11.05

장소: 경기 과천시 서울랜드

http://www.seoulland.co.kr/webzine/2017fall/index.asp

 

 

미드나잇 할로윈 파티 2017 : 몬스터 시티 2017

기간: 2017.10.13 ~ 2017.10.29

장소: 서울 광진구 커먼그라운드

https://toyrepublic.co/midnight-halloween-party

 

 

인제할로윈번지축제 2017

기간: 2017.10.21 ~ 2017.10.22

장소: 합강정 휴게소, 번지점프장 일원

http://blog.naver.com/injejump63/221105668618

 


롯데시티호텔마포 할로윈 나이트 풀파티 2017

기간: 2017.10.27 ~ 2017.10.27

장소: 롯데시티호텔마포 2층 수영장

http://www.lottehotel.com/city/mapo/ko/offer/packageView.asp?seq=2047&pageMod=list&currPage=1&totalCount=12&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KeywordGubun=all&searchKeywor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