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짜장면이 검은색인 이유
우리나라 배달음식 1위죠. 바로 짜장면인데요. 짜장면을 보면 장 색깔이 검은 윤기가 나고 먹기 좋게 보입니다.
하지만 춘장이 처음에는 검은색이 아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중국의 작장면. 출처 나무위키>
<한국의 짜장면. 출처 나무위키>
짜장면은 중국의 작장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인천에 들어온 중국노동자들은 산동성 출신이 많았는데, 산동성 가정식이었던 작장면을 부두 노동자들에게 팔던 것이 기원이 되었습니다. 중국요리이지만 한국식으로 현지화가 된 대표적인 요리입니다.
<출처 나무위키>
처음 춘장은 대두를 발효식혀 만든 장으로 적갈색, 지금의 쌈장색깔과 비슷했다고 하네요. 하지만 춘장을 생산하는 후발업체가 까만 춘장을 만들어 팔면서 까만 춘장이 더 숙성이 잘된 것이라는 소문이 나게 됩니다. 이에 사람들은 까만 춘장을 찾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짜장면 가게도 까만 춘장을 사용하다보니 춘장에 물을 좀 타도 티가 잘 안나게 됩니다. 즉, 원가절감으로 이어졌고 너도나도 까만 춘장을 찾게 됩니다.
결국 원조업체도 카라멜색소를 넣어 까맣게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경쟁이 되면서 상향평준화가 된 것이 아니라 하향평준화가 된 것이죠. 이렇게 탄생한 것이 한국식 춘장입니다.
반응형
'알아두면 써먹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개는 안물어요 - 강아지 안전용품 (0) | 2017.10.24 |
---|---|
맥주의 종류 - 라거? 에일? IPA? (0) | 2017.10.20 |
할로윈데이에 왜 호박을 사용할까? (0) | 2017.10.18 |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이란? (0) | 2017.10.17 |
편의점별 통신사 할인 한판 정리 (0) | 2017.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