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써먹는 정보

독감과 감기의 차이

반응형

길거리나 지하철에서 보면 주변에 기침하는 분들이 많이 보입니다. 흔히들 감기에 심하게 걸리면 독감이 아닌지 의심하곤 하는데 감기와 독감은 원인, 증상, 치료방법이 모두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독감과 감기의 발생원인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됩니다. 독감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정해져 있죠. 하지만 감기는 200여종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200여종의 바이러스끼리 결합을 하여 변종 바이러스를 만들기도 합니다. 독감은 바이러스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통해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합니다만, 감기는 예방접종이 없습니다. 200여종+변종 바이러스 중 어떤 바이러스가 감기의 원인인지 확인도 어렵고, 모든 감기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백신을 만든다는건 시간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가능에 가깝죠. 감기에 걸려 처방받는 약들은 원천적인 치료제가 아닌 현재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이 더 큽니다.

 




독감과 감기의 증상


독감은 주로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고 감기는 사계절 내내 발생합니다. 독감은 39도가 넘는 고열과 근육통을 동반하는 반면, 감기는 콧물과 기침을 주로 합니다. 또한 감기에는 합병증이 거의 없습니다. 독감은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독감과 감기의 치료방법


감기를 완벽하게 치료하는 약은 없습니다. 휴식을 취하면서 면역을 향상시키는게 가장 좋습니다. 독감은 예방접종만 맞아도 70% 이상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예방접종후에 설령 독감에 걸렸다한들 증상이 훨씬 경미해집니다. 독감 예방접종 시기는 보통 9월 이후이며, 주로 겨울에 독감이 기승을 부리기 때문에 늦어도 11월까지는 맞는 것이 좋습니다. 한번 맞으면 2주 이후부터 면역이 발생하여 최대 6개월까지 유지된다고 하니 매년 가을쯤 맞는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은 보건소나 일반 병원 등에서 가능하며 비용은 1만원부터 다양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