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써먹는 정보

노란리본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반응형

2018 4 16일은 세월호 4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이를 추모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추모행사가 열리는데요. 세월호 추모행사에 같이 등장하는 것이 이 노란 리본이죠.

 


노란 리본의 유래


노란 리본에 대한 내용은 유럽의 약 4세기 전에 'She Wore A Yellow Ribbon'(그녀는 노란 리본을 달았네)라는 시와 노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판이나 시험에 들게 된 애인을 기다린다는 내용이었는데요

이 노래가 추후 미국에 전파되었고, 미 육군이 이를 사용하게 되면서 노란 리본의 의미는 군인들의 무사생환을 바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후 1973년 토니 올랜도와 돈(Tony Orlando and Dawn)이 발표한 팝송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늙은 떡갈나무에 노란 리본을 달아 주오)」 가 히트하면서 노란 리본은 멀리 있는 사람을 그리워하고 기억하는 상징이 되었습니다.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의 가사 발췌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d oak tree

오래된 떡갈나무에 노란 리본을 달아주오

It's been three long years, do you still want me?

벌써 삼 년이나 되었는데 아직도 나를 사랑하오?

If I don't see a ribbon round the old oak tree

오래된 떡갈나무에 노란 리본이 없다면

I'll stay on the bus forget about us

난 버스에 그대로 남아 우리에 대해 모두 잊겠소

Put the blame on me

모두 내 잘못일 거요

If I don't se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d oak tree

만일 오래된 떡갈나무에 노란 리본이 없다면

 

Now the whole damn bus is cheering

이제 온 버스의 사람들이 환호를 지르고

And I can't believe I see

내 눈 앞의 광경을 믿을 수가 없소

A hundred yellow ribbons round the old oak tree

오래된 떡갈나무에 백 개의 노란 리본이 달려 있고

I'm coming home

난 집으로 돌아간다오

 



노란 리본의 사례


미국의 경우 1979년 미국인 52명이 이란 주재 미국대사관에 인질로 잡혀있을 때 노란 리본 캠페인이 확산되었으며, 중국은 2015년 동팡즈싱 호 침몰 사고 때 노란 리본 캠페인이 진행된 사례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과거 노란 리본 캠페인이 진행된 사례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중적으로 확산된 건 14 4월 세월호 침몰사고에 실종자들의 무사 귀환의 의미로 사용된 때입니다.




반응형